연구개발
개요
연구분야
연구과제
지적재산권
개요
차세대 바이오 산업의 선두주자
(주)아미텍 미생물연구소는 지난 십여년간 석• 박사 연구진에 의해 축척된 생명공학기술의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국내 토양에서 순수 분리한 다양한 유용미생물과 천연추출물을 이용하여 농촌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는 제품개발을 위해 과감한 연구비 투자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경쟁력 증진을 위해 KAIST, 충남대학교 등 인근대학의 교수진 및 대덕연구단지 연구원들과 기술협력을 실현시켜 고부가가치성의 환경친화적인 바이오제품을 개발• 공급함으로서 자연과 토양환경을 복원하고, 동시에 농업의 생산성과 농민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영농의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저희 연구진 모두 최선을 다하고자
연구분야
생물농약(Biological Contorl)
- 미생물살균제(Microbial fungicide)
- 미생물살충제(Microbial pesticide)
식물생리활성제
- 식물생장조정제(Plant growth regulator)
- 미생물 비료(Biofertilizer)
생균제 (Probiotics development)
- 캡슐화미생물제(Micro-encapsulated synbiotics)
- 악취제거제
산업균주의 분리 및 개량
토양복원(Soil remedation)
연구과제
과제명 | 기관 |
생균력 증진을 위한 캡슐형 미생물제 제조기술의 개발 | 산업자원부 |
시설 재배지 염류집적 토양의 개량을 위한 미생물의 분리 및 미생물 복합제 개발 | 농림수산부 |
딸기 탄저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선균(Streptomyces속)으로부터 길항물질의 분리 및 정제 | 학술진흥재단 |
골프장 잔디 팻취병 방제를 위한 미생물 복합제의 개발 | 한국잔디연구소 |
산채류로부터 생리활성(황산화 및 항혈전)물질의 분리 및 이용성 연구 | 농업진흥청 |
축산악취 경감을 위한 친환경 생물학적 시스템 개발 | 농림수산부 |
오렌지 병원성 곰팡이를 억제하는 길항물질의 분리 및 방제기전에 관한 연구 | Florida 주립대 |
밴트그라스 잔디용 미생물비료의 개발 | 미국 Clemson Univercity |
키틴분해 미생물을 다량 함유한 생물기능성 퇴비 개발 | 중부대학교 |
미생물제제에 의한 살선충 효과 검정 | 목원대학교 |
지적재산권
구 분 | 명 칭 | 비 고 |
국 내 |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호알칼리성 세균 Bacillus subtilis MH-30을 이용한 혈분아미노산 제조기술 | 등록 |
항균활성을 갖는 Streptomyces속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 등록 | |
방선균류인 미이크로모노스포라속 SA-246 균주를 이용한 항균-항암활성을 갖는 SAPH유도체의 제조방법 | 등록 |